삼성엔지니어링이 운영하는 꿈나무 푸른교실

  •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용자가이드
  • 사이트맵
검색
  • 알림마당
    • Event
    • 꿈푸소식
    • 꿈푸사진
  • 참여마당
    • 오늘의인사
    • 환경게임
    • 자유게시판
    • 활동신청
  • 환경교실
    • 전문가칼럼
    • 환경노트
    • 환경수업
    • 환경실험실
    • 카드뉴스
    • 환경동화
    • 환경웹툰
  • 환경기자단
    • 환경기사
    • 이달의기자
    • 선물신청
    • 그린인터뷰
  • 포트폴리오
    • 나의 이력서
    • 관심콘텐츠
    • 쪽지관리
    • 친구관리
    • 꿈푸포인트
  • 탐구대회
    • 대회 소개
    • 공지사항
    • 프로젝트
    • UCC
    • 최종결과
  • 꿈푸소개
    • 꿈나무 푸른교실
    • 에코 제너레이션
    • 삼성엔지니어링
환경교실 전문가 칼럼

전문가 칼럼

미투데이 트위터 페이스북
게시판 상세보기
전문가 칼럼 연재《 10 》방심하면 나타내는 골치 아픈 곰팡이
등록일 2022-08-24 조회수 513 추천수 0 작성자 꿈푸관리자(ecomast***)




방심하면 나타내는 골치 아픈 곰팡이

 



고호관 과학칼럼니스트





축축한 화장실, 햇빛이 잘 들지 않는 구석, 먹다가 깜빡 잊고 오랫동안 놓아둔 빵. 이런 곳에서는 으레 불청객을 만날 수 있습니다. 바로 곰팡이입니다. 벽이나 먹을 것에 곰팡이가 솜털처럼 앉아 있는 모습을 보면 저절로 얼굴이 찌푸려지지요.



곰팡이는 얼핏 식물처럼 보이지만 전혀 다른 생물입니다. 곰팡이를 식물과 달리 광합성으로 스스로 에너지를 만들지 못하고 외부의 물질을 흡수하며 살아갑니다. 그런데도 곰팡이는 지구에서 대단히 번성하고 있습니다. 식물과 미생물 다음으로 지구에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곰팡이는 공기 중에 미세한 포자를 퍼뜨려서 번식합니다. 포자는 자유롭게 떠다니다가 번식하기 적당한 환경을 만나면 자리를 잡고 번식합니다. 실제로 곰팡이는 어디에나 있는 셈입니다. 아무리 뚜껑을 잘 닫아 놓은 곳에서도 시간이 지나면 곰팡이가 번식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보지는 못해도 이미 포자가 침투해 있었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우리 주변 어디에나 존재하는 곰팡이는 이로운 존재이기도 하고 해로운 존재이기도 합니다.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곰팡이를 이용해 음식을 만들었습니다. 메주로 만드는 우리나라 전통 음식인 된장과 간장에는 누룩곰팡이가 쓰입니다. 메주에는 누룩곰팡이뿐만 아니라 여러 곰팡이가 살고 있습니다.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인데요, 치즈를 만들 때도 곰팡이가 쓰이며, 소시지의 일종인 살라미를 만들 때도 향을 위해 곰팡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메주

▲ 메주를 매단 풍경(출처: 게티이미지뱅크)



곰팡이에서 병을 치료하는 약을 얻기도 합니다. 가장 유명한 사례가 알렉산더 플레밍이 발견한 페니실린입니다. 페니실린은 푸른곰팡이가 세균을 물리치기 위해 만드는 물질입니다. 플레밍이 우연히 발견한 뒤로 여러 과학자에 의해 인류 최초의 항생제가 되어 수많은 사람의 목숨을 구했습니다. 이 외에도 곰팡이에서 얻은 물질로 만든 약이 쓰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장기 이식을 받은 사람이 거부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먹는 약인 시이클로스포린(ciclosporin)도 곰팡이에서 얻은 물질입니다.



반대로 곰팡이가 우리에게 해를 끼치는 경우도 많습니다. 실 벽이나 벽지에 곰팡이가 핀 곰팡이는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습니다. 청소해도 잘 지워지지 않기 때문에 애초에 곰팡이가 피지 않도록 관리하는 게 좋습니다. 게다가 곰팡이가 번식해서 공기 중에 떠다니는 곰팡이 포자가 많아지면 사람에게 알레르기 반응이나 호흡기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평소에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사람에게는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지요. 그래서 습한 곳처럼 곰팡이가 번식하기 쉬운 곳에 산다면 생활 환경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벽에 핀 곰팡이

▲ 벽에 핀 곰팡이(출처: 게티이미지뱅크)


곰팡이에 감염되어 걸리는 질병도 있는데요, 백선이 대표적입니다. 백선은 피부, 손발톱 등이 곰팡이에 감염되어 걸리는 질병입니다. 감염되면 피부에 빨간 발진이 생기고 가려운 증상이 나타납니다. 털이 빠지거나 손발톱이 갈라지기도 합니다. 감염은 여러 부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발에 감염된 경우를 무좀이라고 부르지요.




곰팡이가 내놓는 독소가 건강에 해를 끼치기도 합니다. 빵과 같은 음식에 곰팡이가 피었다면, 곰팡이가 핀 부분만 도려낼 것이 아니라 전체를 버리는 게 좋습니다. 곰팡이가 눈에 보일 정도로 피었다면 나머지 부분이 괜찮아 보여도 전체가 오염되었다고 봐야 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곰팡이 독소는 특히 더 위험합니다. 주로 견과류에서 잘 생기는 어떤 곰팡이가 만드는 독성 물질인 아플라톡신은 강력한 발암물질입니다. 아플라톡신을 접하면 간에 손상을 입거나 간암에 걸릴 수 있습니다. 호밀에서 자라는 곰팡이인 맥각이 분비하는 물질은 먹은 사람은 환각을 보며 중독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원인을 몰랐던 과거에 호밀빵을 많이 먹었던 많은 유럽인이 고통을 받았습니다.



우리 주변에서 곰팡이를 완전히 없앨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항상 관리해주어야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겠지요. 곰팡이를 예방하려면 실내 환기를 자주 해주고, 습도를 너무 높지 않게 유지해야 합니다. 가구와 벽 사이의 공간도 공기가 통할 수 있게 적당히 띄워 주는 게 좋습니다. 음식물도 너무 오래 방치되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겠지요?




img국문_인스타그램_전문가칼럼_V10_좋은곰팡이나쁜곰팡이_220824.jpg [1,145kb]첨부파일 다운로드
추천하기
목록
총 9개의 덧글이 있습니다.|덧글 닫기
  • 쥐돌이(yoon***)    2022-09-01
    양날의 검처럼 곰팡이가 약으로 쓰이기도 하고 독을 내뿜는다니 신기한 생물입니다 하지만, 깨끗한 환경이 중요하다니 신경 많이 써야겠습니다
  • 리오(leo2***)    2022-09-05
    비가 많이와서 화장실에도 겨울옷에도 곰팡이가 있습니다. 환기를 잘 해야 겠습니다
  • (happyhah***)    2022-09-06
    그동안 곰팡이를 해를 끼치는 생물로 보았는데, 칼럼을 읽은 후 곰팡이가 이로운 존재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이 흥미롭네요! 그래도 해로운 부분도 있으니 음식을 먹을 때나 주변 환경을 지속적으로 살펴보는 습관을 길러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 기자꿈나무(actress0***)    2022-09-17
    너무 신기하기도 하고 무섭기도 해요. 좋은 곰팡이가 있는 반면에 나쁜 곰팡이도 있네요.
  • 토리(tory***)    2022-11-15
    확인하고 먹어야할것 같습니다.
    견과류에서 잘 생기는 어떤 곰팡이가 만드는 독성 물질인 아플라톡신은 강력한 발암물질입니다. 
    아플라톡신을 접하면 간에 손상을 입거나 간암에 걸릴 수 있습니다. 
    호밀에서 자라는 곰팡이인 맥각이 분비하는 물질은 먹은 사람은 환각을 보며 중독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성주니(juni0***)    2023-01-29
    주변을 항상 깔끔하게 관리하여 건강한 생활을 하도록 해야겠습니다 😊
  • 예빈(peusu0***)    2023-02-14
    곰팡이가  나쁜짓만 하는것 같은데 아니였군요!
  • 리오(leo2***)    2023-02-14
    다시 읽어보았습니다. 좋은 곰팡이, 나쁜 곰팡이 곰팡이는 싫은데 신기합니다
  • 통하는친구(lim090***)    2023-03-07
    곰팡이에 대한 기사 잘 읽었습니다. 우리 주변에 좋은곰팡이보다 나쁜곰팡이가 많은것 같으니 개인 위생 관리도 잘 하고 면역력도 키워야겠습니다.
이전 다음 이벤트 게시물 목록
이전 전문가 칼럼 연재《 9 》방사선을 막아라!
다음 전문가 칼럼 연재《 11 》 방사성 폐기물 어떻게 처리할까?